포뮬러 1/2020시즌/6R~9R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20시즌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20시즌/1R~5R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포뮬러 1/2020시즌/10R~13R


1. 개요
2. 6R: 포뮬러 1 아람코 그란 프레미오에스파냐 2020 (스페인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7R: 포뮬러 1 롤렉스 벨기에 그랑프리 2020 (벨기에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8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 하이네켄이탈리아 2020 (이탈리아 GP)
4.1. 퀄리파잉
4.2. 레이스
5. 9R: 포뮬러 1 피렐리 그란 프레미오 델라 토스카나 페라리 1000 2020 (토스카나 GP)
5.1. 퀄리파잉
5.2. 레이스


1. 개요[편집]


포뮬러 1의 2020 시즌 중 6R부터 9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6R: 포뮬러 1 아람코 그란 프레미오에스파냐 2020 (스페인 GP)[편집]


세르히오 페레스가 코로나 검사에서 드디어 음성이 나오며 2경기만에 경기에 복귀하게 되었다. 니코 휠켄베르크는 다시 리저브 드라이버 역할에 집중하게 된다.

2.1. 퀄리파잉[편집]



2020 스페인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해밀턴이 보타스를 누르고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또 다시 메르세데스 듀오가 프런트 로우를 독점함과 동시에, 해밀턴의 폴 포지션으로 메르세데스는 8년 연속 스페인 GP 폴 포지션 획득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폴시터가 레이스에서 우승을 하지 못 한 시즌은 2016 시즌밖에 없을 정도로[1] 폴시터에게 매우 유리한 경기이기에 해밀턴의 우승이 매우 유리해 보인다.

약 1달만에 돌아온 페레즈는 4위를 차지함으로써 기분 좋은 복귀전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팀메이트인 스트롤도 5위를 차지함으로써 레이싱 포인트는 조금씩 상위권의 자리로 향하고 있다. 그들의 뒤로 알본이 6위를 차지하였고, 맥라렌 듀오가 모처럼 7-8위를 차지함으로써 좋은 그리드를 확보하였다. 반면, 페라리 듀오는 이번에도 부진을 이어갔다. 제바스티안 페텔이 0.002초 차로 아깝게 Q2에서 탈락하였으며, 르클레르는 분전하였으나 9위에 그쳤다. 추월이 쉽지 않은 이곳 카탈루냐에서 과연 얼마나 많은 순위 상승을 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또 하나의 주목된 점으로는 키미 래이쾨넨의 분전이다. 줄곧 Q1에서 탈락했던 키미가 모처럼 Q2에 진출함과 동시에 이번 시즌 최고 그리드인 14위를 기록한 것이다. 이 역시 키미가 익일 레이스에서 포인트를 바라볼 수 있을지도 기대해 볼 만한 요소로 평가받는다.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1:31:45.27925
2위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24.177s18
3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44.752s15+1[F]
4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1 Lap12
5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1 Lap[2]10
6위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1 Lap8
7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 Lap6
8위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1 Lap4
9위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1 Lap2
10위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랜도 노리스 (맥라렌)+ 1 Lap1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1:18.183 (Lap 66)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29.7%

2020 스페인 GP 하이라이트

폴시터에게 매우 유리한 스페인 GP답게, 해밀턴이 이번 그랑프리에서 여유로운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 우승으로 이미 2위인 막스와의 격차를 37점이나 벌려놓았으며, 이대로 3~4경기만 우승 행진을 이어가면 2020 시즌 월드 챔피언은 따 놓은 당상이나 다름없다. 오히려 주목할 만한 점으로는 2위 싸움을 펼치는 막스와 보타스인데, 이번 경기에서 막스가 보타스보다 한 계단 위인 2위로 완주함으로써 오히려 격차는 6점 벌어지게 되었다. 사실상 챔피언 차지가 힘든 막스에겐 더 집중할 포인트는 보타스와의 경쟁일 것으로 예상된다.

레이싱 포인트 듀오가 4-5위를 차지하며 이번 시즌 최상의 결과를 다시 한 번 보여주었다. 한편 페레즈가 청색기 신호 위반으로 5초 페널티를 받아 4위에서 5위로 내려앉기도 하였다. 그 뒤로 사인츠가 6위를 차지해 고득점을 기록하였고, 무엇보다 오늘의 드라이버 자리에 손색없는 페텔은 그야말로 멱살 잡고 순위를 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레이스 엔지니어를 비롯해 페라리 피트월에서 제대로 된 작전 설명도 없이 안절부절 못하고 있을 때, 페텔은 화를 내가면서도 소프트 타이어로 수십랩을 버티는 기염을 토했다.[3] 여기에 자신보다 더 빠른 레이스카를 모는 알본을 철벽방어하며 7위 자리도 지킨 것이었다. 한편, 알본 입장에서는 가슬리의 분전에 위협을 더 받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가슬리가 자칫 잘못하면 자신을 추월할 뻔하였으며, 간신히 방어하며 8위 자리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이외에는 리카도가 2연속 노포인트 피니쉬를 하였고, 좋은 퀄리파잉 세션을 가진 키미 래이쾨넨이 14위로 그대로 완주하며 레이스가 마무리되었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파일:독일 국기.svg221
2
파일:24377758-063C-40DC-9673-98FE2D391435.png
레드불 - 혼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135
3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파일:영국 국기.svg63
4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맥라렌 - 르노파일:영국 국기.svg62
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61

3. 7R: 포뮬러 1 롤렉스 벨기에 그랑프리 2020 (벨기에 GP)[편집]



3.1. 퀄리파잉[편집]



2020 벨기에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메르세데스와 해밀턴이 무서운 상승세를 계속 이어나갔다. 이번 벨기에에서도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다시 우승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였으며, 팀메이트인 보타스와도 0.5초 이상 벌려놓으며 압도적인 기록을 찍었다. 레드불 팀은 막스가 보타스와 아쉬운 격차로 3위, 알본이 5위를 마크하며 무난한 그리드를 확보하였고, 그 사이에 차량 업데이트에 큰 성공을 거둔 르노 팀은 리카도와 오콘이 무려 4,6위를 차지하며 포디움에 대한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맥라렌과 레이싱 포인트도 뒤쳐지지 않았다. 사인츠가 좋은 숏런으로 7위를 기록한 가운데, 레이싱 포인트 듀오는 그 뒤를 따라 8-9위를 차지하였다. 톱10을 이들이 형성한 가운데, 알파타우리 듀오도 11-12위를 기록하며 포인트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반면에, 1년 전까지만 해도 그랑프리 우승을 두고 경쟁한 이탈리아의 빨간팀은 오히려 퇴보한 모습을 보이며 샤를 르클레르가 13위, 제바스티안 페텔이 14위를 기록하는 처참한 결과를 선보였다. 사인츠는 웃을래야 웃을 수 없는

하위권은 큰 변화 없이 알파 로메오, 하스, 윌리엄스 팀들이 담당하며 퀄리파잉이 마무리되었다.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1:24:08.76125
2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8.448s18
3위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5.455s15
4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다니엘 리카도 (르노)+ 18.877s12+1[F]
5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에스테반 오콘 (르노)+ 40.650s10
6위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42.712s8
7위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랜도 노리스 (맥라렌)+ 43.774s6
8위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47.371s4
9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52.603s2
10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53.179s1

패스티스트 랩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다니엘 리카도 (르노)1:47.483 (Lap 44)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18.9%

2020 벨기에 GP 하이라이트

메르세데스와 해밀턴의 완벽한 지배였다. 해밀턴이 시즌 5번째 우승을 기록함과 동시에 폴투윈을 차지하였다. 마지막 랩에 리카도가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하지 않았다면 그랜드 슬램을 차지할 정도로 거의 최고에 가까운 기량을 선보였다. 보타스가 최대한 따라가려 노력하였으나, 크게 붙지 못하고 격차가 유지된 채 준우승을 차지하였으며, 막스 베르스타펜이 그 뒤를 이어 3위를 차지하였다. 한편, 포디움 시상 직전 인터뷰에서 막스가 '지루한 레이스였다.'라고 밝히며 현 메르세데스의 독주에 대한 가벼운 평을 내기도 하였다.[4]

르노 입단 이후 거의 최고의 경기를 펼친 다니엘 리카도는 해밀턴의 그랜드 슬램을 저지했을 뿐만 아니라, 막판에 막스를 추월할 수 있는 페이스를 발휘하며 팬들에게 놀라움을 선사하였다. 오콘이 후미의 알본을 비롯한 중위권 드라이버들을 방어하는 동안, 리카도는 상위권과의 격차를 줄이고자 하였고, 포디움엔 실패하였으나 시즌 첫 패스티스트 랩 기록에 성공하였다. 오콘 역시 방어에 성공하며 5위로 완주해 르노에게 무려 23점을 두 드라이버가 선물할 수 있었다.

맥라렌은 사인츠가 파워 유닛 문제로 DNS하며 아쉬움이 컸다. 비록 레이싱 포인트 듀오가 9-10위를 차지하며 3점만 획득해, 노리스가 7위로 6점을 획득해 역전할 수 있었으나, 사인츠의 차에 문제가 없었다면 높은 확률로 이 포인트 차를 더욱 벌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라렌의 노리스 뒤로 가슬리가 8위를 차지했는데, 12위에서 출발하여 상대하기에 강력한 라이벌들을 잘 방어하고 추월하며 4계단을 오르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여기에 오루즈-라디옹에서 페레즈를 추월하는 장면은 이 경기의 백미라 할 정도였으며, 저조한 경기를 선보인 알본과 대조되는 레이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한편, 페라리는 저조한 퀄리파잉을 뒤로 하고 레이스에서도 큰 반전을 이루지 못하며 체면을 더욱 구기고 말았다. 레이스 초반에 좋은 스타트로 르클레르가 순위를 올렸으나, 처참한 파워로 인해 직선 주로에서 속수무책으로 추월을 허용해 나갔다. 하스 팀과 알파 로메오 팀도 이 여파로 부진하며 페라리 파워 유닛 사용 팀들에겐 악몽같은 주말이 되고 말았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파일:독일 국기.svg264
2
파일:24377758-063C-40DC-9673-98FE2D391435.png
레드불 - 혼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158
3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맥라렌 - 르노파일:영국 국기.svg68
4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파일:영국 국기.svg66
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61

4. 8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 하이네켄이탈리아 2020 (이탈리아 GP)[편집]



4.1. 퀄리파잉[편집]



2020 이탈리아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전통적인 직선 위주의 세팅이 필요한 몬차 서킷이고, 지난 시즌 몬차 Q3에서 일어난 일과 비슷하게 이번 시즌 몬차 Q1에서도 비슷한 일이 발생하는 소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페라리의 제바스티안 페텔이 17위로 Q1에서 탈락하는 일이 발생하고 말았다. 특히나 페라리의 홈 그랑프리인 이곳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일이라 티포시들의 절망은 더 큰 상황. 또 다른 드라이버인 샤를 르클레르도 부족한 파워를 실감하며 13위로 여지없이 Q2에서 탈락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는 여느 때와 다름없이 메르세데스 듀오의 압도적인 지배였다. 해밀턴과 보타스가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였고, 약간의 변동이 있다면 이번 시즌 직선 주로에서 큰 이점을 보인 맥라렌과 레이싱 포인트 팀이 큰 성과를 보인 것이다. 사인츠가 3그리드를 차지하며 포디움 가능성을 또 다시 높였고, 페레즈도 4위에 오르며 사인츠와의 경쟁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반면, 직선에서 항상 약한 모습을 보인 레드불은 이 여파를 피하지 못하였는데, 막스가 5위, 알본은 9위에 그치며 저조한 퀄리파잉을 펼치고 말았다.

이어 알파타우리 듀오가 10-11위를 기록하며 무난한 퀄리파잉을 마쳤고, 나머지 하위권은 하스, 알파 로메오, 윌리엄스 팀들이 차지하며 퀄리파잉이 마무리되었다. 이번 GP 역시 큰 이변이 없다면 메르세데스 듀오의 원투 피니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1:47:06.05625
2위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0.415s18
3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3.358s15
4위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랜도 노리스 (맥라렌)+ 6.000s12
5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7.108s10
6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다니엘 리카도 (르노)+ 8.391s8
7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7.245s6+1[F]
8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에스테반 오콘 (르노)+ 18.691s4
9위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22.208s2
10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23.224s1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1:22.746 (Lap 34)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28%

2020 이탈리아 GP 하이라이트

파일:Pierre Gasly first win.jpg

피에르 가슬리가 기적의 데뷔 첫 우승을 달성하였다. 레이스 초반만 해도 늘 그래왔듯이 해밀턴이 앞서나갔고, 스타트 실수를 한 보타스가 밑으로 내려간 것 외에는 별다른 이변이 없었으나, 20랩째에 케빈 마그누센이 파워 유닛 문제로 피트레인 입구에 정차한 것에서부터 스토리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세이프티카가 발동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피에르 가슬리가 피트 스탑하였으나, 하필 피트레인을 나올 때 세이프티카가 발동되면서 폭망한 줄 알았으나... 하필 마그누센의 차의 위치가 피트레인 입구라 피트레인 엔트리가 닫혔다. 이 상황에서 레이스 리더인 해밀턴은 이를 보지 못하고 피트인하였고, 스튜어드들은 해밀턴에 10초 스탑 & 고 페널티를 부과하며 해밀턴은 우승의 기회를 날리고 말았다. 세이프티카로 두 바퀴를 돌고 나서야 피트레인 엔트리가 열리며 대부분이 피트 스탑하는 틈에 가슬리가 3위[5]까지 올라섰고, 여기에 세이프티카 엔딩 직후 샤를 르클레르의 사고로 운 좋게 레드플랙까지 뜨면서, 좋은 위치에서 재시작한 가슬리는 로켓 스타트와 함께 선두 자리로 올라서며 감격적인 데뷔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가슬리는 이 우승으로 24년 만에 우승을 차지한 프랑스인으로 이름을 남겼으며, 알파타우리 팀 역시 12년 만에 그랑프리 우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아울러, 이 경기는 2013 호주 GP 이후 첫 빅3팀 이외의 팀이 우승한 경기이기도 하다.

2위를 차지한 사인츠도 F1 커리어 최고의 성적을 받아들였다. 비록 레드플랙으로 인해 사실상 첫 우승의 기회가 날아갔으나, 마지막까지 가슬리를 압박하며 고군분투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6] 다소 행운[7]을 얻기는 하였지만, 브레이크 록업으로 순위를 잃은 이후에는 침착하게 주행한 랜스 스트롤도 이번 시즌 첫 포디움에 들며 기쁨을 표했다.[8] 그 뒤로는 7위를 차지한 해밀턴은 페널티 수행으로 레이스 중후반부에 최하위로 떨어졌으나, 매서운 집중력으로 앞서가는 차량들을 하나씩 추월해가며 7위까지 오르는 활약을 펼쳤다.

페라리와 레드불에겐 최악의 주말이 되고 말았는데, 레드불의 경우 막스 베르스타펜이 파워 유닛 문제로, 알렉산더 알본순수하게 느려서 15위로 완주하는 아쉬운 결과를 맞이하였다. 페라리는 제바스티안 페텔이 6랩째에 브레이크 문제로, 르클레르는 23랩 째에 컨트롤을 잃고 벽에 충돌하며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파일:독일 국기.svg281
2
파일:24377758-063C-40DC-9673-98FE2D391435.png
레드불 - 혼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158
3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맥라렌 - 르노파일:영국 국기.svg98
4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파일:영국 국기.svg82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파일:프랑스 국기.svg71

5. 9R: 포뮬러 1 피렐리 그란 프레미오 델라 토스카나 페라리 1000 2020 (토스카나 GP)[편집]


파일:1F0870AA-8DF3-48EF-B4F9-B905472FD4BC.jpg
1000번째 그랑프리를 맞이하는 첫번째 팀인 페라리를 기념하는 의미에서 세이프티 카의 외관 컬러가 메르세데스-벤츠를 상징하던 은색에서 포뮬러 1의 로고 색인 레드 컬러로 특별히 변경되었다.

아울러, 이곳 무젤로 서킷에서 열리는 첫 그랑프리이다.

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1:15.144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0.059s2번째
P3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0.365s3번째
P4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0.810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126s5번째
P6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1.167s7번째[9]
P7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1.212s6번째
P8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다니엘 리카도 (르노)+ 1.399s8번째
P9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2.726s9번째
P1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에스테반 오콘 (르노)N/A10번째

2020 토스카나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처음 그랑프리를 개최한 이곳 무젤로에서 루이스 해밀턴이 0.059초 차로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전체적으로 직선 구간과 고속 코너에서 안정감을 가진 팀들이 강세를 보였는데, 특히 레드불 듀오가 메르세데스와의 격차를 많이 줄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본도 좋은 모습을 보이며 막스의 바로 뒷그리드를 차지한 것이 괄목할 만한 요소이다.

이와 더불어, 1000번 째 레이스를 맞이한 페라리 팀의 르클레르가 한계까지 몰아붙인 끝에 5위를 달성하며 티포시들을 기대케 만들었다. 팀메이트인 제바스티안 페텔이 14위로 힘든 퀄리파잉을 펼친 까닭에 어려움이 아직 많지만, 폭이 좁은 코너에서 최대한 방어해나가면 좋은 순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중위권에서 열심히 배틀 중인 레이싱 포인트 듀오도 6-7그리드를 차지하며 좋은 출발을 알렸다.

10위권 밖으로는 키미 래이쾨넨이 13위를 차지하며 노장의 힘을 과시하였고, 지난 경기 드라마틱한 우승을 차지한 피에르 가슬리는 예상치 못한 부진으로 16위를 차지하며 Q1 탈락을 맞이하였다.

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2:19:35.06025+1[F]
2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4.880s18
3위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8.064s15
4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다니엘 리카도 (르노)+ 10.417s12
5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15.650s10
6위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랜도 노리스 (맥라렌)+ 18.883s8
7위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21.756s6
8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28.345s4
9위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키미 래이쾨넨 (알파 로메오)+ 29.770s[10]2
10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29.983s1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1:18.833 (Lap 58)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다니엘 리카도 (르노)23.9%

2020 토스카나 GP 하이라이트

적색기만 2번이나 나온 혼돈의 그랑프리였다. 스타트가 좋았던 보타스가 해밀턴을 제치고 선두로 올라섰고, 잘 버텨냈으나 이후 리스타트에서 해밀턴에게 다시 자리를 내주며 해밀턴-보타스의 원투 피니쉬로 마무리되었다. 메르세데스는 이 경기로 사실상 컨스트럭터 챔피언 타이틀을 따 놓았다고 해도 무방하며, 이젠 해밀턴의 드라이버 챔피언십 타이틀이 언제 확정될지를 지켜봐야 할 요소가 되었다. 이들의 뒤로 3위를 차지한 드라이버는 오랜 기다림 끝에 오르게 된 알렉산더 알본이었다. 퀄리파잉에서도 좋은 기록을 뽐낸 알본은 팀메이트인 막스 베르스타펜이 오프닝 랩에서 충돌로 리타이어한 사이, 리카도, 페레즈, 르클레르 등과 경쟁하며 우위를 기록해 나갔고, 그 결과 59랩을 3번째로 통과하며 감격적인 첫 포디움을 차지하였다.

르노의 다니엘 리카도도 분전하며 좋은 결과를 맞이하였다. 직선에서도 코너에서도 나름대로 절대 뒤쳐지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상위권을 지켜나갔고, 포디움에 오르는 듯 하였으나 아쉽게 알본을 막지 못하고 4위에 만족하게 되었다. 팀메이트인 에스테반 오콘이 브레이크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르노 입장에선 아쉬움이 있었으나, 리카도의 12점으로 레이싱 포인트, 맥라렌과의 경쟁에 불을 지피게 되었다. 그의 뒤로 페레즈와 노리스가 들어오며 3대의 컨스트럭터 3위 싸움은 더욱 치열해지게 되었다.

1000번 째 경기를 맞이한 페라리는 또 다시 암울한 결과를 맞이했다. 레이스 초반 6랩 째의 다중추돌 사고와 더불어 기타 차량 이슈로 리타이어한 차들을 제외하면 12명만이 완주하였으나, 르클레르는 8위, 페텔은 10위를 차지하며 사실상 하위권을 담당하게 되었다. 중반부부터 경쟁 팀들이 성공적인 업데이트를 가져오며 앞서가는 것과 달리 페라리는 현재 개발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앞으로의 상황이 더욱 어두워질 것으로 보인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파일:독일 국기.svg325
2
파일:24377758-063C-40DC-9673-98FE2D391435.png
레드불 - 혼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173
3
파일:맥라렌 검정 로고.png
맥라렌 - 르노파일:영국 국기.svg106
4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파일:영국 국기.svg92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파일:프랑스 국기.svg83

[1] 당시 니코 로즈버그와 폴시터인 루이스 해밀턴의 충돌로 동반 리타이어.[F] A B C D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2] 4위로 완주했으나, 청색기 신호 위반으로 5초 페널티 가산 적용하여 5위로 순위 하락.[3] 한편, 팀메이트인 샤를 르클레르는 전자계통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아쉬움이 있기도 하였다.[4] 이쯤되니, 팬들 입장에서도 이 3명만 계속 포디움에 든다며 '햄보막' 조합이라는 이름을 만들기도 하였다.[5] 심지어 선두는 10초 스탑 앤 고 페널티를 수행하지 못한 루이스 해밀턴이었다.[6] 2랩 남은 상황에서, 팀에서 실수하지 말고 2위를 유지하자고 하였으나 "하지만 나는 이 레이스를 이기고 싶다"며 우승에 대한 갈망을 보여줬고, 2위로 레이스를 마친 후에는 팀라디오로 "1랩만 더 있었다면..."이라고 말하며 아쉬움을 표했다.[7] 마그누센의 리타이어 상황에서 피트인을 하지 않고 2위로 올라선 상황에서 얼마 안가 레드플래그가 나오며 레드플래그의 최고 수혜자였다.[8] 스트롤에게도 3년만의 포디움이다.[9] FP2 세션 중 키미 래이쾨넨과의 충돌로 1그리드 페널티 적용.[10] 8위로 완주했으나, 피트레인 입구를 가로질러 가 5초 페널티 가산 적용하여 최종 9위 인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포뮬러 1/2020시즌 문서의 r58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포뮬러 1/2020시즌 문서의 r58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10 18:59:51에 나무위키 포뮬러 1/2020시즌/6R~9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